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톨스토이
- 재림그리스도
- 하나님의교회
- 재림그리스도 안상홍님
- 생명수
- 영생
- 어머니하나님
- 예수님
- 안상홍하나님
- 시온
- 구원
- 아버지하나님
- 하나님의 계명
- 예수님의 살과 피
- 성령과 신부
- 감사
- 하늘 어머니
- 새 언약 유월절
- 하나님의 교회
- 읽으면좋은글
- 인생이란 무엇인가
- 안상홍님
- 떡과 포도주
- 새언약 유월절
- 유월절
- 안식일
- 예루살렘
- 어머니 하나님
- 하나님의 절기
- 성령
Archives
- Today
- Total
울맘울파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 26일 전문] 부제: 자선 본문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 26일 전문]
부제: 자선
블러그 카테고리에 아예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를 독립시켰습니다.
좋은 글 좋은 말에 포함시켜 듣기가 부담?혹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이러나 저러나 크게 문제는 없지만 이 두툼한 분량의 듣기를 좀 더 부지런히 해 보겠다는 의지라고나 할까요?ㅋ
1년 가까이 시간이 흘렀는데 1월 26일이네요...
힘내서 '듣기'를 시작해 봅니다.
(읽기가 아니라 듣기라 생각하자 권해드렸지요?)
1월 26일
1 부자는 아무래도 무자비해지지 않을 수 없다. 만약 그가 인간다운 자비심을 발휘하기 시작한다면 그는 이내 가난해질 것이다.
2 우리가 식탁에 둘러앉아 즐거운 얘기를 나누면서 배불리 먹고 있을 때, 길 가는 사람이 울고 있는 것을 보고도 아무렇지도 않고 더 나아가 그들에게 화를 내고 사기꾼이라고 욕까지 한다면, 그것은 정말 부당한 일이 아니겠는가? 빵 한 조각 때문에 남에게 사기를 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설령 그 사람이 정말 그랬다 하더라도, 너는 그를 가엾게 여기고 더욱 더 그 사람을 가난에서 구해주어야 한다. 만일 네가 끝까지 자선을 베풀고 싶은 마음이 없다면, 적어도 그들에게 모욕만은 주지 말아야 한다. 요한
3 먼저 약탈을 중지하고, 그 뒤에 자선을 베풀어라, 부정한 돈에서 손을 뗀 뒤, 그 손을 이웃을 위해 내밀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제 손으로 어떤 사람의 옷을 벗겨, 같은 손으로 다른 사람에게 입힌다면, 우리의 자선행위가 곧 범죄행위에 대한 방아쇠가 되는 셈이다. 그 같은 자선은 아예 하지 않는 편이 낫다. 요한
4 부자가 자선행위를 할 때만큼 그의 잔인함이 잘 드러날 때는 없다.
5 부잣집에는 세 사람 앞에 열다섯 칸의 방이 있지만, 가난한 사람이 몸을 녹일 수 있도록 방을 내주지는 않는다. 농부의 집에는 7평방아르신(역주- 1아르신은 71.12 센티미터. 러시아 길이 단위) 의 방에 일곱 사람이 살고 있어도 낯선 나그네를 기꺼이 재워준다.
6 우리는 여러 가지 대상을 불완전하기 때문에 사랑한다. 그 불완전성은 노력이 인생의 법칙이 되고 자비가 인간 심판의 법칙이 되게 하기 위해 하느님이 정하신 것이다. 존 러스킨
7 예지의 철 번째 원칙이 자기 자신을 아는 것에 있는 것처럼 (실은 이것이 무엇보다 어려운 일이지만), 자선의 첫 번째 원칙은 적은 것으로 만족하는 데 있다(이것도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것처럼 만족할 줄 알고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만이, 남에 대한 자선에서도 강한 힘을 발휘한다. 존 러스킨
8 누구든지 세상의 재물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의 형제가 궁핍한 것을 보고도 마음의 문을 닫고 그를 동정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그에게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사랑하는 자녀들이여, 우리는 말로나 혀 끝으로 사랑하지 말고 행동으로 진실하게 사랑합시다. 요한 1서 제 3장 17~18절
9 말과 입이 아니라 행위와 진실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가 말한 것처럼 부자는 구걸하는 자에게 베풀어야 한다. 그러나 만일 구걸하는 자 모두에게 베푼다면 그 사람은 아무리 많은 재물을 가지고 있어도 금세 가난해질 것이다. 그렇게 가난해져야 비로소 그는, 그리스도가 부유한 젊은이에게 명령한 것을 실천한 것이 된다.
사람들이 적은 것으로 만족할 줄 안다면 약탈이란 것이 생기지 않았을 것인데,
나눌 줄 알았다면 극한의 빈곤자도 생기지 않았을 텐데.
인간의 욕심으로 자연이 소생 불가하게 되었고 너무 많이 갖는 사람으로 너무 없는 사람이 생긴 것이리라.
부자가 자비심을 갖게 되면 금새 가난해질 것이란 말이 남아있다.
'일상 >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 28일 전문] 부제:자유의 법칙 (10) | 2021.01.20 |
---|---|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 27일 전문] 부제: 이타적 사랑 (8) | 2021.01.05 |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25일 전문] 부제 : 지식 (12) | 2020.12.28 |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 24일 전문] 부제 : 인생의 나갈 길 (8) | 2020.12.24 |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1월 23일 전문]- 부제:분노 (15) | 2020.12.05 |